본문 바로가기

사찰및 암자답사

포항 내연산 계곡숲길/포항 보경사 천년고찰 뒤편으로 흘러드는 물줄기 내연산 숲길은 보경사에서 시작한다. 12.8㎞ 길이의 계곡길이 트레일로 완성된 것은 지난해 8월이지만 이 길은 유서 깊은 명승지였다. 정선의 그림 ‘내연삼용추도’, 정시한(1625~1707)의 『산중일기』에 등장하면서 내연산 들어가는 길은 예부터 인적.. 더보기
금오신화의산실 용장사지/경주남산 문화재 용장사지 삼층석탑(보물제186호) 남산 전체를 하층 기단으로 삼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유례가 없는 큰 탑인 셈이다.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이 경주 금오산(남산) 용장사에 칩거하며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집필한 장소이다. 설잠교 삼륜대좌 석조여래좌상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더보기
칠불암과신선암/경주남산문화재 칠불암 가파른 산비탈을 깎고 높이 4m 가량의 축대를 쌓아 만든 불단 위에 모셔져 있는 불상군이다. 병풍바위에 새긴 삼존불과 사각 돌기둥에 새긴 사면석불상(四面石佛像)으로, 모두 칠불(七佛)이 모셔져 있다. 삼존불은 미소를 머금고 있는 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 더보기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과 옥룡암 이 일대는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다. 남쪽의 큰 바위에는 목조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석탑조각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남쪽면의 불상을 주존으로 하여 남향사찰을 경영했었음을 알 수 있다. 9m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불상을 회화적으로 .. 더보기
벽종사 수련과야생화 지장도량 벽종사 대웅전 법당 문, 꽃무니로 된 법당 문이 특이합니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 영암리 449번지 소재, 수련과 연꽃 야생화로 소문난 조그마한 사찰을 다녀오다. 더보기
은해사 쌍거북바위 뒷면의 부처님 열반상 음각화 쌍거북바위의 마애삼존불 은해사는 신라 제41대 헌덕왕 원년(서기809)에 창건한 천년고찰로서 국운의 시발점인 팔공산의 정기를 외호하고 국가의 안위와 국태민안을 축원.발원하여 국운을 회복하기 위한 아미타도량의 원찰 교구본사이다. 일제 .. 더보기
불국사의봄 불국사로 가는길의 만개한 벚꽃 대웅전 추녀및 코끼리상 용의형상 대웅전 추녀및의 닭의 형상 극락전 현판뒤의 복돼지 대웅전 추녀및의 용이 목어을 물고있는 모습 좌경루의 목어 물고기는 인도와 중국에서 다 같이 신성시된 동물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등용문(登龍門)의 고사가 지닌 .. 더보기
선암사 홍매화 선녀들이 목욕을하고 하늘에 오른다는 아치형모양의 보물400호인 승선교 수령600년의선암매 (천연기념물488호) 선암사의 해후소 편백나무숲이 울창하다. 2014,03,23.순천 홍매화와 풍광이 아름다운 선암사를 다녀오다. 더보기